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디딤돌
- Java 기초
- 후기
- 취업준비
- SK디딤돌 3기
- 취업
- SK 고용디딤돌 기자단
- sk 고용디딤돌
- SK 고용디딤돌 후기
- SK 고용 디딤돌 3기
- 직무교육
- SK 고용 디딤돌
- 디딤돌 후기
- 그랜져 ig
- 취업준비생
- sk고용디딤돌
- SK교육
- 취준생
- Java
- 취업하자
- JAVA 교육
- SK 디딤돌 3기
- 디딤돌 3기
- SK 디딤돌 기자단
- SK 고용디딤돌 3기 기자단
- SK디딤돌
- 기자단
- 고용디딤돌 3기
- SK 고용디딤돌 3기
- SK 취업
- Today
- Total
목록프로그래밍/리눅스 (10)
Avjhome
* 리눅스의 시작과 종료 명령어 터미널을열어 # poweroff # shutdown -P now (P옵션은 시스템종료) # halt -P (P옵션은 시스템종료) # init 0 이 4가지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. shutdown의 명령어 옵션 # shutdown -k shutdown을 실행하는겍 아니라ㅏ 모든사용자에게 종료 경고 메시지만을 전송해준다 # shutdown -r 시스템 shoutdown후 시스템 재시작 # shutdown -p +20 20분후에 종료 (P는 poweroff뜻한다.) # shutdown -c 예약된 shutdown을 취소 shutdown의 구동과정 1. shutdown 명령 수행 후 sync작업수행 (sync) 2. 접속해 잇는 사용자들에게 종료메시지 전송 3. 새로운 ..
현재 경로보는 명령어 [pwd] 리눅스의 기본명령어인 pwd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리눅스에서 pwd --help 라고 치면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. [root@localhost Desktop]# pwd --help bash: pwd: --: invalid option pwd: usage: pwd [-LP] pwd 명령은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보여줍니다. 예를들어 루트 최상위 경로 에서 pwd를 치게되면 이런 결과를 보게 됩니다. [root@localhost /]# pwd / 현재 최상위 경로 이기때문에 / 로 결과를 볼수 있습니다. 만약에 home 디렉토리 안 -> anon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pwd를 치게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수 있습니다. [root@localhost..
Linux (리눅스) 는 일반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처럼 컴퓨터 운영체제중의 하나입니다. 위에있는 이미지가 리눅스 공식 스테이드마크인 턱스 입니다. 리눅스는 오픈 소스여서 여러가지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한 패키기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그렇기때문에 한 기관, 회사에서 O/S를 만들지않고 여러 그룹이나 회사 등에서 O/S를 제작해 현재는 엄청나게 많은 리눅스가 나와있습니다. 그러나 리눅스 종류중 가장많이 사용되는 O/S가 있습니다. 1. 우분투 2. cent os 3. 안드로이드 4. 수세 등이 있습니다. 현재는 레드햇에서 만든 cent OS 가 리눅스에 Window처럼 자리잡도 있기때문에 리눅스를 처음 접하시는분이면 cent OS를 사용하라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.
리눅스 파티셔닝 명령어정리 * fdisk (영역나누기) n(새파티션 만들기) -> p, e, l (파티션종류 정하기) 시작지점정하기 (first cylinder) -> 끝 (last cylinder) : +1G (1기가바이트) +100M(100메가바이트) d(파티션지우기) w(저장하고 빠져나오기) q(그냥빠져나오기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mke2fs (포맷하기) -j (저널링이라는 복구기술 사용하기) 샘플 (mke2fs -j /dev/sda1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*mount (디렉토리와 연결해주기) =t ext3 (포맷방식을 지정..
리눅스 파이션 삭제하기 & 만들기 &포맷하기 1. 새로 추가된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확인한다. (원래있던 디스크 제거) 2. 아래와같이 파티션을 만들어준다. */dev/sd(x)1 ---> 1G */dev/sd(x)2 --->500M */dev/sd(x)3 --->100M 3. 저장하고 빠져나온다.(w) 4. 파티션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한다. (fdisk -l) 5. mke2fs 로 파티션들을 모두 ext3(-j옵션) 으로 포맷해준다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[root@localhost /]# fdisk -l Disk /dev/sda: 21.5 GB, 21474836480 bytes 2..
리눅스의 부팅과정 (중요한부분만) 1. 부트로더 (grub) - 운영체제를 선택해서 부팅할 수 있다 2. 커널 - 리눅스의 엔진 모든하드웨어/ 소프트웨어관리 3. /sbin /init -리눅스부팅시 하드웨어 /소프트웨어를 초기화시킴 4. mingetty - 사용자가 로그인을 가능하게 해줌 (x-windows 일경우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가 실행됨) 5. shell - 사용자가 작업을 할수있게 해줌 (x-windows 일경우 래픽유저인터페이스안에서 콘솔창을 실행하는 형태로 쉘을 사용할수 있음)
tar -zcvf ./압출할파일이름 ./* 하위디렉토리까지 [root@localhost ~]# tar -zcvf ./xxx.zip ./* ./anaconda-ks.cfg ./empty_file/ ./install.log ./install.log.syslog ./newdir/ ./sample ./tempfile [root@localhost ~]# ls anaconda-ks.cfg empty_file install.log install.log.syslog newdir sample tempfile xxx.zip 압축풀기 [root@localhost extrack]# ls xxx.zip [root@localhost extrack]# tar ./zxvf ./rootdata.zip ./ tar: invalid op..